Home 알림마당공지사항

알림마당

공지사항

 
작성일 : 05-10-26 00:00
조류독감,정확히알면두렵지않다
 글쓴이 : 관리자
조회 : 4,294  

[시론]조류독감, 정확히 알면 두렵지 않다.

모인필 충북대 수의과대학교수 /조선일보'05. 10. 24.     철새도래지 천수만에서 방역복을 입은 요원들 뒤로 떼지어 날아가는 야생철새들을 보면 금방이라도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공중에서 살포될 것 같은 착각이 든다. 일반 식당에서조차 평범한 사람들이 타미플루와 독감 백신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것을 보면 조만간에 국내에서 당장이라도 조류독감 환자가 발생할 것처럼 보인다. 동남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조류독감 발생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고 1918년 대유행한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와 동남아시아 조류독감 바이러스 간의 유사성이 드러남에 따라 과거보다 조류독감의 사람 감염 가능성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가 지나치게 과민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아닌지 뒤돌아볼 필요가 있다.     1918년 스페인 독감이 지금 유행한다면 그 피해는 인구의 증가와 교통발달로 엄청나게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당시에는 독감의 원인이 독극물인지 아니면 세균이나 바이러스인지를 몰랐던 시대였다. 즉, 조류독감에 대해 아무런 대비 없이 대재앙을 맞은 것이다. 반면에 현재 우리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유전자 하나하나까지 파악하고 있으며 발생이 되면 수 시간 내에 전 세계적으로 발병 사실을 전달할 수 있는 조직을 가지고 있다. 사람 간 전파가 확인되지 않은 현재의 상태에서 스페인 독감 감염시 2.5% 사망률을 강조한다면 필요 이상으로 일반인들은 예민해지고 수십년간 지켜온 관련 양계산업은 하루아침에 무너질 수 있다.     따라서 정보의 전달에 있어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국내에서도 2003년에 조류독감이 발생한 바 있다. 전국적으로 발생하였으나 당시 일반 국민은 물론 양계산업 종사자들도 감염이 되지 않았다. 반면에 같은 시기에 발생한 동남아시아에서는 전국적으로 퍼졌고 사람에게 감염이 되고 현재도 근절되지 않고 있다. 과연 어떠한 차이점이 있었을까? 감염 경로를 정확히 알고 이해한다면 의외로 해답은 간단히 나온다.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사람 간에 전파되는 단계로 발전을 한다면 더 이상 야생조류나 닭에서의 감염은 의미가 없다. 현 상태에서 국내에 조류독감이 발생할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야생조류가 저(低)병원성 바이러스를 직접적으로 닭에게 전파시키거나 사람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전파시킨 후 6개월 혹은 1년이 지난 다음 고(高)병원성으로 변하는 경우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미국·멕시코·이탈리아에서의 발생이다. 두 번째는 조류독감 발생 국가로부터 오염된 축산물이 국내에 직접 수입 혹은 휴대품으로 반입되거나 발생 국가의 감염된 야생조류가 이동해오는 경우이다. 이 경우, 어느 날 갑자기 조류독감이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2003년 한국·일본·동남아시아 국가에서의 발생이 대표적인 예가 된다. 빠른 속도로 전파되기 때문에 조기신고, 조기진단, 조기방역 등 차단방역이 되지 않고 박멸이 지연될 경우 그 피해는 양계산업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도 커다란 위협이 된다. 현재의 동남아시아가 이런 사태에 직면해 있다.     국내에서의 유입과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감염되면 100% 폐사함으로써 확실한 증거를 보여주는 닭을 지표로 삼아 방역체계를 확립하는 것이다. 특히 신속한 신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닭을 가장 측근에서 관찰하는 양계농가와 조류질병 전문 수의사의 역할에 기대를 걸어야 하며 또한 적극적 지원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현재 국내에는 조류독감에 감염된 닭도 없을 뿐더러 오염된 닭고기나 계란도 유통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조류독감에 감염되면 1~2일 내 폐사를 하는데 닭고기와 계란이 어떻게 유통되겠는가? 만약 사람에게 감염이 이루어진다면 첫 번째 감염자는 양계농가 혹은 현장 조류질병 전문 수의사일 것이다. 이들에게 문제가 없는 한 우리 일반 국민은 안심하고 닭고기와 계란을 먹어도 된다. 또한 철새에 의하여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유입될 가능성은 있으나 뚜렷하게 확인된 바가 없다. 주의는 해야 하지만 가능성만으로 우리를 찾아온 야생 철새를 다른 곳으로 쫓아버린다면 또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


 
 
 

TOP